혈구 탐식성 림프조직구증(HLH)과 면역 효과 세포 관련 신경독성(ICANS)을 포함한 신경독성은 위해성 완화 조치를 수반하는 룬수미오주의 새로운 중요한 규명된 위해성입니다.
HLH는 생명을 위협하는 증후군이므로, 조기 발견과 관리가 필수적입니다. 면역 효과 세포 관련 HLH 유사 증후군(IEC-HS)을 포함하는 HLH는 중증 CRS(사이토카인방출증후군)과 유사할 수 있지만, CRS보다 지연된 발병 시기, 페리틴 급증, 사이토카인 프로파일의 차이 등의 임상적 차이가 있습니다. HLH가 의심되는 경우 룬수미오주의 투여를 중단하고 현행 진료 지침(예: Hines et al. 2023)에 따라 치료를 시작해야 합니다.
룬수미오를 환자에게 투여한 후에는 ICANS를 포함하는 신경독성의 징후와 증상을 모니터링해야 합니다. 처방의는 환자에게 룬수미오 투여 후 이러한 징후나 증상이 발생하면 즉시 의료 조치를 받도록 안내해야 합니다. ICANS 발생 시 코르티코스테로이드, 비진정성 항경련제, 보조 요법, 신경과 상담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ICANS 중증도에 따라 룬수미오주 투여를 중단하거나 종료해야 합니다.
룬수미오는 두가지 이상의 전신 치료 후 재발성 또는 불응성 소포성 림프종(FL) 성인 환자를 치료하는 전장(full length)의 완전 인간화 면역글로불린 G1 (IgG1) 항-CD20xCD3 T세포 의존성 이중 특이성 항체입니다.
HLH는 세포독성 T 림프구와 대식세포의 병적 활성화로 인한 심각한 과염증 증후군으로, 적절한 치료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사이토카인 폭풍과 장기 손상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성인에서는 감염과 악성종양이 HLH의 주요 유발 요인이고, 림프종이 악성종양 관련 HLH의 가장 흔한 유발 요인으로 나타나며, 림프종 환자에서의 발생률은 1-20%입니다(Wang et al. 2017). T 세포 연관 치료에 따른 HLH, 즉 면역 효과 세포 관련 HLH 유사 증후군(IEC-HS)은 생명을 위협하는 합병증과 관련된 돌발 독성으로, 조기 발견과 관리가 필수적입니다. 사망을 초래하는 사례를 포함한 HLH 이상사례는 룬수미오주 임상 시험과 동정적 사용 프로그램(compassionate use program)에서 보고된 바 있으며, 이는 질병 진행과 감염의 맥락에서 관찰되었습니다. 임상 시험과 동정적 사용 프로그램에서 HLH의 발생률은 0.7%(1052명 중 7건)입니다. HLH는 임상 징후와 증상 면에서 심각한 CRS와 유사할 수 있지만, 지연된 발병, 혈청 페리틴의 급격한 증가, 사이토카인 프로필의 차이로 구별될 수 있습니다. 증상이 CRS와 겹칠 수 있지만, HLH의 응급 치료 권고사항은 CRS와 다릅니다. HLH가 의심되는 경우, 룬수미오를 중단하고 현행 치료 지침(예: 병원 지침 또는 ASTCT 전문가 합의 지침(Hines et al. 2023))에 따라 치료를 고려해야 합니다. 합의 지침에서는 아나킨라(인터루킨-1 수용체 길항제)를 코르티코스테로이드와 함께 또는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을 일차 치료로 권장합니다. HLH가 의심되는 경우 전문가와의 상담이 권장됩니다.
면역 효과 세포 관련 신경독성(ICANS)은 T세포 연관 치료 후에 발생할 수 있는 임상적, 신경정신과적 증후군입니다. 룬수미오 투여 환자에서도 ICANS를 포함한 신경독성이 보고되었습니다. 최근의 누적 분석에 따르면, 룬수미오 임상 시험과 동정적 사용 프로그램에 참여한 1219명의 환자 중 1.9%에서, 심각하고 생명을 위협하는 사례를 포함하여, ICANS와 일치하는 이상사례가 발생했습니다 (Lee et al. 2019). 룬수미오를 투여받는 환자들에서 보고된 ICANS의 증상으로는 혼란 상태, 섬망, 주의력 장애 및 인지 장애, 방향 감각 상실, 무기력증, 기억 장애 및 뇌병증이 포함됩니다. 대부분의 ICANS 사례는 치료의 첫 번째 주기 동안에 발생했습니다. ICANS는 CRS와 관련하여 발생할 수 있으며, CRS와 무관하게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ICANS의 중증도에 따라 룬수미오 치료를 보류하거나 중지해야 하며, 코르티코스테로이드, 비진정성 항경련제, 보조 요법 및 신경과 상담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아래 표 참조).
(a) 신경독성 등급 분류는 National Cancer Institute Common Terminology Criteria for Adverse Events (NCI CTCAE) 버전 4.03을 따름
(b) American Society for Transplantation and Cellular Therapy (ASTCT) 합의 등급 기준
(c) 룬수미오 투여 중단 여부를 결정할 때는 신경독성의 유형을 고려해야 함
(d) 룬수미오 투여 지연 이후 재투여 시 제품 첨부문서의 투약이 지연되거나 투약을 놓친 경우 항목의 지침을 참고
(e) 룬수미오 재투여 전 유익성/위해성을 먼저 평가함
룬수미오의 제품 첨부문서는 위 내용을 포함하여 업데이트될 것입니다.
환자 및 보호자에게 ICANS를 포함한 신경학적 독성의 위해성, 그리고 신경학적 독성의 징후 및 증상이 발생하는 즉시 의료진에게 연락해야 한다는 내용을 알리기 위해 환자 카드에 관련 내용이 업데이트될 것입니다.
승인된 적응증에서 룬수미오를 사용할 때 룬수미오의 유익성-위해성 프로필은 여전히 우호적입니다.
한국로슈 제품의 이상사례 보고는 (주)한국로슈
선생님께서 보고하여 주시는 이상사례 정보는 저희 제품의 유익성-위해성의 지속적인 모니터링에 도움이 되며, 환자에게 보다 안전하게 의약품이 사 용될 수 있는 정보로 사용됩니다. 귀하의 협조와 도움에 감사드립니다.
보다 자세한 제품정보는 (주)한국로슈
가장 최신 제품정보는 (주)한국로슈 홈페이지
Crombie et al. Consensus recommendations on the management of toxicity associated with CD3×CD20 bispecific antibody therapy. Blood. 2024 Apr 18;143(16):1565-1575. doi: 10.1182/blood.2023022432. PMID: 38252906.
Hines et al. Immune Effector Cell-Associated Hemophagocytic Lymphohistiocytosis-Like Syndrome. Transplant Cell Ther. 2023 Jul;29(7):438.e1-438.e16. Doi: 10.1016/j.jtct.2023.03.006. Epub 2023 Mar 9. PMID: 36906275; PMCID: PMC10330221.
Lee DW, Santomasso BD, Locke FL, et al. ASTCT consensus grading for cytokine release syndrome and neurologic toxicity associated with immune effector cells. Biol Blood Marrow Transplant. 2019;25:625-638.
Wang H, Xiong L, Tang W, Zhou Y, Li F. A systematic review of malignancy-associated hemophagocytic lymphohistiocytosis that needs more attentions. Oncotarget. 2017 Jul 14;8(35):59977-59985. doi: 10.18632/oncotarget.19230. PMID: 28938698; PMCID: PMC5601794.
This website contains information on products which is targeted to a wide range of audiences and could contain product details or information otherwise not accessible or valid in your country. Please be aware that we do not take any responsibility for accessing such information which may not comply with any legal process, regulation, registration or usage in the country of your origin.